중국 3자녀까지 출산 허용하다.
중국은 수십 년간 '한 자녀 정책'을 고수하다 지난 2016년 '2자녀 정책'을 시행했었다. 그러다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출산율이 떨어지자 추가 산아제한을 완화한 것이다.
이 산아제한은 인구 고령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국가 발전은 물론 국민의 생계와 관련이 있다면서 양질의 경제 발전을 이루고 국가 안보와 사회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인구는 증가하는 폭으로 보여지지만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일명 '인구 절벽'이라고 알려졌다.
중국의 신생아 수 감소는 낮은 출산율과 혼인율의 감소를 이유로 한다. 또한, 100세 시대가 되면서 중국의 고령화는 더욱더 심각해진 상태이다.
중국에서의 2자녀 정책도 되게 드물고 신기한 일로 받아들여졌는데, 이제는 3자녀까지 다자녀 출산을 허용하는 것을 보니, 중국도 많은 인구 절벽이 심하다고 느껴진다. 전문가들은 2050년에는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가 4억명에 육박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는데, 이는 초고령사회 기준을 훨씬 넘는 수치이다.
이는 젊은 청년층에서의 세금과 일로 다가올것이다. 이는 역피라미드 형태의 사회로 나타나는데, 이제 젊은 층이 역 피라미드의 위쪽을 다 짊어져야 할 세대인것이다. 이는 우리나라에게도 포함되는 내용이다. 우리나라 또한 100세 시대로 인해 역 피라미드 형태로 다가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혼자 사는 인구가 많으며, 결혼을 하지만 아이는 갖지 않는 딩크족이라는 용어까지 생겨날 정도로 혼인율과 출산율이 높지 않다.
이는 우리나라의 청년층과 중장년층이 짊어져야할 숙제이다. 지금도 이들의 세금과 짊어질 것들에 대해서 경고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년퇴직의 나이를 늘리는 등 해결하려 하지만 쉽게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이제는 군대에 갈 인원도 없어서 4등급 인원까지 군대에 착출되어 가며, 아이를 낳으면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몇년 사이에 우리나라의 모습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는 중국, 우리나라에만 해당하는 내용은 아닐것이다. 이제 고령화 시대가 이어지면서 젊은 층, 중장년층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과연 고령화 시대의 숙제를 잘 해결해 나아갈지 타로점 보겠습니다.
이 카드는 타워 카드입니다.
키워드
기본: 갑작스러운, 몰락하는, 사고가 생긴
애정: 갑작스러운 이별, 방해가 생긴
금전: 부도가 난, 주가 하락, 큰 돈을 잃은
이 카드는 기존에 갖추던 상황이 갑자기 변하는 새옹지마같은 카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역 피라미드형 모습을 보이며, 이는 나라들의 부담도 커지며, 세금을 내는 인원들에게도 큰 부담으로 다가가며, 나라의 갑작스러운 몰락으로도 이어질 심각한 일로 보여집니다. 이 고령화 시대를 막기위해 나라별 정책을 세워야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몰락하는 지름길로 보여지네요.